발레는 15세기 이탈리아 궁정에서 귀족들의 축하 공연으로 시작되어 오늘날 세계적인 예술 장르로 발전했다.

발레라는 용어는 이탈리아어로 '춤추다'를 의미하는 '발라레(ballare)'에서 유래했다.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궁정에서는 귀족들이 결혼식과 축하 행사에서 무용을 통해 신분과 품위를 표현했다.

발레가 본격적으로 발전한 것은 16세기 프랑스에서다. 이탈리아 귀족이자 예술 후원가였던 카트린 드 메디치(Catherine de Medici)가 프랑스 왕실과 결혼하면서, 발레는 프랑스 궁정에 전해졌다. 그녀의 후원을 받아 발레는 시, 음악, 무대 장식 등이 어우러진 대형 공연 형태(발레 드 쿠르, ballet de cour)로 성장했다.

17세기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는 발레의 체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무용수로 무대에 섰던 그는 1661년 세계 최초의 무용학교인 아카데미 로얄 드 당스(Académie Royale de Danse)를 설립해 발레 기술과 용어를 프랑스어로 정리했다. 이 시기 피에르 보샹(Pierre Beauchamp)이 발레의 기본자세 5가지를 제정하며 클래식 발레의 형식을 마련했다. 1681년에는 전문 무용수가 처음으로 무대에 섰다.

18~19세기 발레는 러시아를 중심으로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포앵트 슈즈(pointe shoes)가 등장해 무용수의 기술과 표현력이 확장되었고, 대표작 <지젤>, <백조의 호수>, <호두까기 인형>이 탄생했다. 20세기 초, 디아길레프(Sergei Diaghilev)의 '발레 뤼스(Ballets Russes)'가 등장하며 클래식과 현대적 요소가 결합된 혁신적인 공연이 세계 무대를 사로잡았다.

현재 발레는 유럽, 러시아뿐 아니라 아시아와 아메리카까지 확산돼 있다.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창조적이고 실험적인 현대 발레의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